트럼프 한마디에 '금값 폭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2일(현지시간), 안전자산의 대명사로 불리는 금 가격이 또다시 역사적인 최고치를 경신했다. 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율 발표 직후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 현물가격은 0.6% 상승한 온스당 3,129.46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금 선물 가격 역시 0.6% 오른 3,166.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장중에는 가격이 1%가량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국제 금 가격은 지난해부터 각국 중앙은행의 대규모 매입과 아시아 지역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해왔으며, 올해 들어서만 19%나 올랐다.

 

반면, 산업용 원자재인 구리 가격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심한 변동성을 보였다. 처음에는 관세 우려로 장중 2.2%까지 급등했으나, 일부 국가들이 상호관세 면제 대상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결국 구리 가격은 0.1% 소폭 상승한 채 마감했다.

 


국제 유가는 상호관세가 세계 경제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 하락세를 보였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뉴욕 시간 2일 오후 4시 59분 기준 배럴당 70.73달러를 기록해 이날 종가 대비 1.4% 하락했다.

 

다만, 미국의 최대 원유 공급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수입업자와 소비자들의 우려를 다소 완화시켰다.

 

레이몬드 제임스의 파벨 몰차노프 애널리스트는 "관세는 글로벌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른 변수가 없다면 석유 수요에도 타격을 준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는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기에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계기가 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무역 긴장이 고조될 경우 금 가격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하고 있다. 한편, 산업용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은 글로벌 경제 성장 전망과 각국의 무역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