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깜짝 결정.."아이폰 가격 급등 막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한 이후, 주요 전자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기로 추가 발표했다. 이는 주식 및 국채 시장에서의 하락과 여론의 악화가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2일 발표된 조치에는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로 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반도체에 대한 추가 품목 관세 부과 가능성도 남아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관세 여부를 14일에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첫 취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미국의 제조업 보호를 명분으로 다양한 품목에 대한 관세를 부과해 왔다. 하지만 유럽연합(EU)과 캐나다를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관세 전쟁이 우려를 낳았고, 이로 인해 미국의 주식과 국채 가치가 폭락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는 몇 가지 강경한 정책을 철회하거나 유예하며 대응했다. 9일에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도 3월에 유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서만은 145%의 추가 관세를 계속 고수해 왔다. 그중 125%는 상호 관세로 부과되며, 나머지 20%는 중국의 펜타닐 유입 문제를 이유로 징벌적인 성격의 국가 관세로 부과됐다. 그러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미국의 소비재 물가가 급등할 우려가 커지자, 트럼프는 전자 제품에 대해서만큼은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12일 발표된 관세 유예 품목에는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미국의 주요 전자 제품들이 포함됐다.
관세가 부과되면 수입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비자와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아이폰과 같은 전자 제품은 중국에서 생산된 부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이 급등할 우려가 있었다. 실제로 아이폰 가격이 급등할 경우 애플의 실적에도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우려가 커지자, 트럼프는 스마트폰과 같은 주요 전자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애플 주가는 2일 발표된 상호 관세 부과 이후 한때 23%나 폭락했다.
또한, 미국 내 소비자 심리가 악화된 것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11일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는 예상보다 큰 폭으로 하락한 50.8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 우려가 극에 달했던 2022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 내에서는 급격한 관세 인상이 초래할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주요 전자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가 이런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임기 동안에도 아이폰과 같은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애플의 CEO인 팀 쿡과 여러 차례 대화를 나누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쿡은 1월 트럼프의 취임식에 100만 달러를 기부하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500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미국에서의 생산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내에서 아이폰을 생산한다고 해도 생산 비용이 너무 높아져 판매 가격이 3500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는 미국 내 숙련된 생산직 인력 부족과 높은 인건비 때문이라는 것이다.
트럼프는 관세 인상을 통해 국가 및 기업별로 손익을 따져 협상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한국과도 방위비 분담금과 관세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한국에 부과된 25% 상호 관세는 9일 발표된 유예 조치로 90일간 미뤄졌다. 트럼프는 한국과의 협상을 ‘원스톱 쇼핑’ 방식으로 처리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이번 관세 면제 조치에서 중국에 부과한 징벌적 관세까지 유예되는지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