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니문은 없었다'... 트럼프 지지율 39%로 곤두박질

워싱턴포스트(WP)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지난 18~22일 미국 성인 2,4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39%에 그쳤다. 반면 '부정적'이라는 평가는 55%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16%포인트나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WP의 지난 2월 조사 때 기록한 45%보다 6%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트럼프의 지지율이 취임 초기부터 30%대로 떨어진 것이다.
WP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과거 어느 대통령보다 낮다"며 "집권 1기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시점에서 42%를,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52%를 기록했다"고 비교 설명했다. 또한 "대부분 대통령은 취임 초기 몇 달 동안 '허니문' 기간을 즐기지만 첫 해 후반 지지율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며 "트럼프는 예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트럼프가 취임 초기부터 이미 낮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도 지지율 반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미국 사회의 정치적 분열 양상도 여실히 드러났다. 민주당 당원의 90%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공화당원의 80% 이상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미국 사회가 정치적으로 얼마나 양극화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최근의 주식시장 혼란'과 관련해서는 부정 평가가 67%로 긍정 평가(31%)를 두 배 이상 앞섰다.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정책인 '관세 정책'에 대해서도 64%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해 긍정적 평가(34%)를 크게 앞질렀다.
경제 전망에서도 비관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응답자의 72%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단기간 경기 침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주목할 점은 이 중 51%가 공화당원이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트럼프의 경제 정책에 대해 그의 지지 기반 내에서도 우려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CNN 방송이 조사업체 SSRS와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1%로, 3월 조사보다 4%포인트, 2월 조사보다 7%포인트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최소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1953~1961년 재임) 이후 100일 차 신임 대통령 중 가장 낮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지지율 하락 추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를 시작하면서 직면한 여러 도전 과제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 불안, 관세 정책에 대한 비판, 경제 침체 우려 등이 그의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취임 100일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지지율 하락은 트럼프 행정부에게 정책 방향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