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8캔이 당신의 뇌를 '치매 폭탄'으로 만든다?

 미국 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발표된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8잔 이상 술을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은 치매와 관련된 뇌 병변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교 의과대학의 알베르토 페르난도 올리베이라 후스토 박사가 주도했다.

 

연구팀은 사망 당시 평균 나이 75세인 1,781명의 뇌를 부검해 분석했다. 이들의 음주량은 유족을 통해 조사했으며, 음주량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눴다: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965명, 일주일에 7잔 이하 마신 보통 음주자 319명, 일주일에 8잔 이상 마신 과음자 129명, 그리고 과거 과음자 386명이다.

 

연구에서 술 한 잔은 순수 알코올 14g으로 정의했는데, 이는 맥주(4.5%) 355㎖, 포도주(12%) 148㎖, 위스키(40%) 44㎖, 또는 17도짜리 소주 약 103㎖(360㎖ 기준 약 3.5분의 1병)에 해당하는 양이다.

 

부검 결과,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 중 40%가 혈관성 뇌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적당히 마신 사람은 45%, 과음자는 44%, 과거 과음자는 50%가 혈관성 뇌 병변으로 진단됐다. 사망 연령, 흡연, 신체 활동 등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정한 결과,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과음자는 혈관성 뇌 병변이 있을 확률이 133%, 과거 과음자는 89%, 보통 음주자는 60% 더 높았다.

 


특히 과음자와 과거 과음자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 엉킴(tau tangles) 발생 위험이 각각 41%와 31% 더 높았다. 또한 과거 과음자는 체중 대비 뇌 질량 비율이 낮았고, 인지 능력 저하 징후도 확인됐다. 보통 음주자와 과음자의 경우에는 체중 대비 뇌 질량 비율에 차이가 없었으며, 인지능력 저하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충격적인 사실은 과음자가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 13년 일찍 사망했다는 점이다. 후스토 박사는 "과음은 뇌의 손상 징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이는 뇌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쳐 기억력과 사고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교 공중보건대학원의 리나 웬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단기적으로 알코올 사용은 뇌의 통신 경로를 교란시켜 뇌가 사고, 조정, 균형, 언어, 판단을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사고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점진적인 뇌 변화를 겪을 수 있으며, 소량의 알코올조차 조기 노화와 뇌 수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단순히 일시적인 취기를 넘어 뇌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이것이 치매와 같은 심각한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중요한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